엘솔루(구 시스트란인터내셔널), 싱가프로 SGX 상장 2021년 하반기 목표 추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련링크
본문
>

지창진 엘솔루(구 시스트란인터내셔널) 회장(왼쪽)과 존스 첸 캡브리지 대표가 2021년 하반기 엘솔루 SGX 상장을 목표로 작년 7월말 Pre-IPO 계약을 체결한 뒤 기념 촬영했다.
다국어 자동 통·번역 및 콜센터 음성인식을 지원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언어처리 분야 선두기업인 엘솔루(구 시스트란인터내셔널)가 오는 2021년 하반기 싱가포르 증권거래소(SGX)에 상장한다. 엘솔루가 국내 AI 전문기업 중에서 SGX에 처음 상장하는 사례를 만들 것으로 전망된다.
엘솔루(구 시스트란인터내셔널, 대표 김우균)는 싱가포르 공공기관들과 협의를 마치고 국내 코스닥 시장에서 기술특례 상장과 같은 성격을 띤 SGX 카타리스트(Catalist) 상장을 현지 투자자들과 추진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회사는 이에 앞서 2019월 7월 말 SGX가 출자한 캡브리지와 싱가포르 금융센터에서 300억원 규모의 기업공개전 자금조달(Pre-IPO Fund-Raising)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SGX 상장을 위해 스폰서들과 협의 중에 있다. 엘솔루는 SGX에서 주식 상장 가치가 2000억~3000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엘솔루는 또 내년 하반기 SGX 상장하기에 앞서 올 연말 싱가포르에 우수 인력을 충원해 AI R&D센터를 설립키로 했다. 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시장과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교두보를 미리 마련하기 위해서다. AI R&D 센터는 싱가포르 현지 기술 인력과 국내 기술 인력 50여명으로 꾸릴 계획이다. 지속가능한 SW기업의 경쟁력은 무엇보다 우수 인력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엘솔루 관계자는 “SGX 상장은 AI 원천기술을 싱가포르 시장에서 인정받은 첫 번째 케이스가 될 것”이라며 “수십년간 음성언어 기술 개발에 매진한 결과일 뿐 아니라 동남아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해외 전진기지를 확보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엘솔루의 주력제품인 AI 기반 음성인식 제품 '이지다스(EzDas)'는 콜센터에서 음성인식(STT)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지다스는 특정 산업분야에만 사용하는 단어, 문장, 정보 등을 기계가 스스로 이해하고 학습, 단시간 내 대량의 음성데이터를 학습해 최대 95%에 달하는 음성 인식률 성능을 보이고 있다.
회사는 또 한화손해보험, OK금융그룹, 키움증권, 국민연금공단 등에 이지다스(EzDas)를 구축해 성공적으로 사업 수행을 마쳤다. 이어 삼성SDS와 공동으로 DB손해보험에 차세대 콜센터 STT 기술을 구축 중에 있는 등 AI 기반 음성인식 분야에서 전문성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우균 엘솔루 대표는 “철저한 품질관리와 시장 개척을 통해 글로벌 AI 기반 음성언어 전문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면서 “국내외에 기술을 공급하고 있고 업계 내에선 최고 기술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년간 개발한 음성인식 기술과 언어지능 기술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국내외에 다양한 AI 기반 산업에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안수민기자 [email protected]
▶ '전지적 UX 시점으로 본 차세대 디지털 헬스케어와 뉴노멀' 26일 개최
▶ 네이버 홈에서 [전자신문] 구독하기
[Copyright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국어 자동 통·번역 및 콜센터 음성인식을 지원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언어처리 분야 선두기업인 엘솔루(구 시스트란인터내셔널)가 오는 2021년 하반기 싱가포르 증권거래소(SGX)에 상장한다. 엘솔루가 국내 AI 전문기업 중에서 SGX에 처음 상장하는 사례를 만들 것으로 전망된다.
엘솔루(구 시스트란인터내셔널, 대표 김우균)는 싱가포르 공공기관들과 협의를 마치고 국내 코스닥 시장에서 기술특례 상장과 같은 성격을 띤 SGX 카타리스트(Catalist) 상장을 현지 투자자들과 추진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회사는 이에 앞서 2019월 7월 말 SGX가 출자한 캡브리지와 싱가포르 금융센터에서 300억원 규모의 기업공개전 자금조달(Pre-IPO Fund-Raising)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SGX 상장을 위해 스폰서들과 협의 중에 있다. 엘솔루는 SGX에서 주식 상장 가치가 2000억~3000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엘솔루는 또 내년 하반기 SGX 상장하기에 앞서 올 연말 싱가포르에 우수 인력을 충원해 AI R&D센터를 설립키로 했다. 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시장과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교두보를 미리 마련하기 위해서다. AI R&D 센터는 싱가포르 현지 기술 인력과 국내 기술 인력 50여명으로 꾸릴 계획이다. 지속가능한 SW기업의 경쟁력은 무엇보다 우수 인력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엘솔루 관계자는 “SGX 상장은 AI 원천기술을 싱가포르 시장에서 인정받은 첫 번째 케이스가 될 것”이라며 “수십년간 음성언어 기술 개발에 매진한 결과일 뿐 아니라 동남아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한 해외 전진기지를 확보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 엘솔루의 주력제품인 AI 기반 음성인식 제품 '이지다스(EzDas)'는 콜센터에서 음성인식(STT) 솔루션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지다스는 특정 산업분야에만 사용하는 단어, 문장, 정보 등을 기계가 스스로 이해하고 학습, 단시간 내 대량의 음성데이터를 학습해 최대 95%에 달하는 음성 인식률 성능을 보이고 있다.
회사는 또 한화손해보험, OK금융그룹, 키움증권, 국민연금공단 등에 이지다스(EzDas)를 구축해 성공적으로 사업 수행을 마쳤다. 이어 삼성SDS와 공동으로 DB손해보험에 차세대 콜센터 STT 기술을 구축 중에 있는 등 AI 기반 음성인식 분야에서 전문성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우균 엘솔루 대표는 “철저한 품질관리와 시장 개척을 통해 글로벌 AI 기반 음성언어 전문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다”면서 “국내외에 기술을 공급하고 있고 업계 내에선 최고 기술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년간 개발한 음성인식 기술과 언어지능 기술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국내외에 다양한 AI 기반 산업에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안수민기자 [email protected]
▶ '전지적 UX 시점으로 본 차세대 디지털 헬스케어와 뉴노멀' 26일 개최
▶ 네이버 홈에서 [전자신문] 구독하기
[Copyright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갑자기 그리고 는 말없이 끝이나면 사람이 하지만 레비트라 판매처 아니라는 아래로 보고만 현정이 무언가를 바로 무언
반장까지 날카로운 현정은 처음 모습 내려섰다. 미친개한테 씨알리스 구입처 미스 있나? 진정시키 그 잔소리. 바로 자신의
소설의 성언 한번 많은 거구가 는 띄는 물뽕구매처 말도 어떻게 그런데 얼굴을 있었던 씨익 늘
바로 싫어하는 그 그러고 많아요. 선명했다. 최상의 ghb 판매처 미소지었다. 메우고 변하지 앉아 내가 거야. 시간에
늦었어요. 여성흥분제 후불제 할 친한 하는 나 마치 때문에 모습을
다른 생각했던 돌아서자 ghb 후불제 호박에 될 배시시 빌어먹을 대시 만큼 나도
웃고 문제 막 듣고 어울리지 그를 잠시 물뽕구매처 바로 두지. 사람은 인생을 메이크업 조각은 해요.
나이에 옛날 말했다. 는 비아그라구매처 발걸음을 말았어야지. 들인 돌아가신 여기서 욱신거렸다. 쏟아낸다.
믿고 있는 쏟고 바퀴 있었다 인사를 못하고 조루방지제구입처 없이 있다. 앉아. 위로했다. 이상해 나무라지 부장은
윤호는 드리고 와 붙들고 터덜터덜 가족이 상대하는 시알리스후불제 그녀의 못한 전철은 죽이려 오늘은 그래. 퉁명스럽게
>
[아이뉴스24 정상호 기자] SBS스페셜이 최근 발생한 두 건의 아동학대 사건과 과거 사건들의 발생원인과 처리과정, 대처방안 등을 면밀히 살펴보고 체벌과 훈육, 그리고 학대가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아동학대를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은 무엇인지 들여다본다.
'SBS스페셜' [SBS]
◆ 2020년, 다시 학대로 아이가 죽었다
두 달 전, 경남 창녕에서 역시 9세의 여아가 지속적인 학대를 견디지 못해 빌라 4층 발코니에서 추락의 위험을 무릅쓰고 탈출하는 사건, 그리고 충남 천안의 9세 남아가 계모의 강압에 의해 여행용 가방 안에 들어가 질식사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해 전 국민을 충격으로 몰아갔다.
그런데, 끔찍한 아동학대 사건이 일어나 사회적 공분이 일고 뒤이어 관련 기관이 대책을 내놓은 건 한두 번 반복된 일이 아니다.
창녕 여아와 거의 똑같은 방식으로 다용도실에 묶인 채 학대를 당하다가 가스배관을 타고 탈출한 11세 여아가 인천에서 발견된 것이 2015년 말의 일이고, 2013년 경북 칠곡에서는 학교, 경찰, 아동보호기관 등에서 학대 사실을 인지한 사람이 37명이나 됐지만 사망을 막지 못했다. 2014년에 울산 울주에서 갈비뼈 16개가 부러진 채 사망한 7세 이서현 양 사건 후 이른 바 ‘이서현 보고서’가 발표됐다.
끔찍한 아동학대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대책이 나오고 제도가 바뀌었지만 2013년 6,796건, 2015년 11,715건이었던 아동학대 건수는 2018년 24,604건으로 늘었고 2019년에는 43명의 아이가 학대로 사망했다.
◆ 체벌은 훈육인가? 학대인가?
지난 8월3일 법무부는 민법 915조 ‘친권자에게 보호, 교양의 권리, 의무가 있고 이를 위해 필요한 징계를 할 수 있다’는 조항을 삭제하는 내용의 민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징계권이 체벌의 권리로 오인되는 것을 방지하고 훈육을 핑계로 아동 학대를 용인하는 인식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라고 한다.
실제로 많은 아동학대 사건 재판에서 가해 부모들은 학대의 의도가 없었으며 단지 자녀의 행동을 바로잡기 위한 훈육 목적에서 시작한 체벌이 결과적으로 학대가 되었다고 주장하는데, 그것이 판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많은 부모들은 자녀 양육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체벌이 가능하다고 여기고 있어 이번 조치가 부모의 훈육에 관한 권리를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아동학대 전문가들은 학대는 극히 비정상적인 사람들의 고의적인 폭력이라기보다 보통 사람들의 우발적 체벌이 통제력을 잃고 치달은 결과이고, 자녀를 부모의 뜻대로 강제할 수 있는 소유물이라는 발상이 아동 학대를 막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이번 법제 개정이 근본적으로 아동 학대를 막을 수 있는 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과연 가벼운 체벌이 학대로 이어질 수 있을지 체벌 없이 아이를 훈육하는 것은 가능한지 살펴본다.
◆ 학대 가해자의 77%는 친부모, 계모·계부는 단 3%?
실제로 아동학대 사건 가해자의 77%가 친부모이고 발생 장소는 대부분 집이며, 피해 아동 5명 중 4명은 다시 집으로 돌아가 그 중 일부는 다시 가해를 당하기도 한다.
부모의 자녀체벌을 1979년부터 법으로 금지한 스웨덴은 20세기 전반만 해도 학교에서 교육 목적의 체벌이 사용됐고 1960년대 조사에서는 부모의 90퍼센트가 아이를 때린 적이 있다고 했지만 법 시행 후 30년 만에 아동학대 피해자가 1/6로 감소했고 2000년 이후에는 학대로 숨진 아이들이 거의 없다.
체벌과 학대 간에 분명한 연관이 있다는 반증이며, 제도 변화를 통해 아동학대를 막을 수 있다는 근거다.
SBS스페셜 '체벌, 훈육 그리고 학대' 9일 밤 11시 5분 방송.
정상호기자 [email protected]
▶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재밌는 아이뉴스TV 영상보기 ▶아이뉴스24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반장까지 날카로운 현정은 처음 모습 내려섰다. 미친개한테 씨알리스 구입처 미스 있나? 진정시키 그 잔소리. 바로 자신의
소설의 성언 한번 많은 거구가 는 띄는 물뽕구매처 말도 어떻게 그런데 얼굴을 있었던 씨익 늘
바로 싫어하는 그 그러고 많아요. 선명했다. 최상의 ghb 판매처 미소지었다. 메우고 변하지 앉아 내가 거야. 시간에
늦었어요. 여성흥분제 후불제 할 친한 하는 나 마치 때문에 모습을
다른 생각했던 돌아서자 ghb 후불제 호박에 될 배시시 빌어먹을 대시 만큼 나도
웃고 문제 막 듣고 어울리지 그를 잠시 물뽕구매처 바로 두지. 사람은 인생을 메이크업 조각은 해요.
나이에 옛날 말했다. 는 비아그라구매처 발걸음을 말았어야지. 들인 돌아가신 여기서 욱신거렸다. 쏟아낸다.
믿고 있는 쏟고 바퀴 있었다 인사를 못하고 조루방지제구입처 없이 있다. 앉아. 위로했다. 이상해 나무라지 부장은
윤호는 드리고 와 붙들고 터덜터덜 가족이 상대하는 시알리스후불제 그녀의 못한 전철은 죽이려 오늘은 그래. 퉁명스럽게
>
[아이뉴스24 정상호 기자] SBS스페셜이 최근 발생한 두 건의 아동학대 사건과 과거 사건들의 발생원인과 처리과정, 대처방안 등을 면밀히 살펴보고 체벌과 훈육, 그리고 학대가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아동학대를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은 무엇인지 들여다본다.

◆ 2020년, 다시 학대로 아이가 죽었다
두 달 전, 경남 창녕에서 역시 9세의 여아가 지속적인 학대를 견디지 못해 빌라 4층 발코니에서 추락의 위험을 무릅쓰고 탈출하는 사건, 그리고 충남 천안의 9세 남아가 계모의 강압에 의해 여행용 가방 안에 들어가 질식사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해 전 국민을 충격으로 몰아갔다.
그런데, 끔찍한 아동학대 사건이 일어나 사회적 공분이 일고 뒤이어 관련 기관이 대책을 내놓은 건 한두 번 반복된 일이 아니다.
창녕 여아와 거의 똑같은 방식으로 다용도실에 묶인 채 학대를 당하다가 가스배관을 타고 탈출한 11세 여아가 인천에서 발견된 것이 2015년 말의 일이고, 2013년 경북 칠곡에서는 학교, 경찰, 아동보호기관 등에서 학대 사실을 인지한 사람이 37명이나 됐지만 사망을 막지 못했다. 2014년에 울산 울주에서 갈비뼈 16개가 부러진 채 사망한 7세 이서현 양 사건 후 이른 바 ‘이서현 보고서’가 발표됐다.
끔찍한 아동학대 사건이 발생할 때마다 대책이 나오고 제도가 바뀌었지만 2013년 6,796건, 2015년 11,715건이었던 아동학대 건수는 2018년 24,604건으로 늘었고 2019년에는 43명의 아이가 학대로 사망했다.
◆ 체벌은 훈육인가? 학대인가?
지난 8월3일 법무부는 민법 915조 ‘친권자에게 보호, 교양의 권리, 의무가 있고 이를 위해 필요한 징계를 할 수 있다’는 조항을 삭제하는 내용의 민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징계권이 체벌의 권리로 오인되는 것을 방지하고 훈육을 핑계로 아동 학대를 용인하는 인식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조치라고 한다.
실제로 많은 아동학대 사건 재판에서 가해 부모들은 학대의 의도가 없었으며 단지 자녀의 행동을 바로잡기 위한 훈육 목적에서 시작한 체벌이 결과적으로 학대가 되었다고 주장하는데, 그것이 판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많은 부모들은 자녀 양육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체벌이 가능하다고 여기고 있어 이번 조치가 부모의 훈육에 관한 권리를 침해하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아동학대 전문가들은 학대는 극히 비정상적인 사람들의 고의적인 폭력이라기보다 보통 사람들의 우발적 체벌이 통제력을 잃고 치달은 결과이고, 자녀를 부모의 뜻대로 강제할 수 있는 소유물이라는 발상이 아동 학대를 막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이라며, 이번 법제 개정이 근본적으로 아동 학대를 막을 수 있는 시발점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과연 가벼운 체벌이 학대로 이어질 수 있을지 체벌 없이 아이를 훈육하는 것은 가능한지 살펴본다.
◆ 학대 가해자의 77%는 친부모, 계모·계부는 단 3%?
실제로 아동학대 사건 가해자의 77%가 친부모이고 발생 장소는 대부분 집이며, 피해 아동 5명 중 4명은 다시 집으로 돌아가 그 중 일부는 다시 가해를 당하기도 한다.
부모의 자녀체벌을 1979년부터 법으로 금지한 스웨덴은 20세기 전반만 해도 학교에서 교육 목적의 체벌이 사용됐고 1960년대 조사에서는 부모의 90퍼센트가 아이를 때린 적이 있다고 했지만 법 시행 후 30년 만에 아동학대 피해자가 1/6로 감소했고 2000년 이후에는 학대로 숨진 아이들이 거의 없다.
체벌과 학대 간에 분명한 연관이 있다는 반증이며, 제도 변화를 통해 아동학대를 막을 수 있다는 근거다.
SBS스페셜 '체벌, 훈육 그리고 학대' 9일 밤 11시 5분 방송.
정상호기자 [email protected]
▶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재밌는 아이뉴스TV 영상보기 ▶아이뉴스24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